2025/03 75

193년 - 5황제의 해, 로마 제국의 내전과 정치적 불안정

1. 5 황제의 해: 혼란의 서막193년은 로마 제국 역사에서 '5 황제의 해(Year of the Five Emperors)'로 알려진 격동의 시기였다. 이 해에는 페르티낙스, 디디우스 줄리아누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페스케니우스 니게르,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등 총 다섯 명의 황제가 연이어 즉위하거나 황위를 주장하며 치열한 권력 다툼을 벌였다. 이러한 상황은 2세기말 로마 제국의 정치적 불안정과 내전으로 이어졌으며, 군대와 원로원의 충돌, 제국 내 각 지역의 반란이 겹쳐지면서 극도의 혼란이 발생했다.5 황제의 해는 단순한 권력 다툼이 아니라 로마 황제 선출 방식이 근본적으로 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전까지 원로원의 승인을 받거나 황제가 후계자를 지정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면, 이제는 군대의 지지가 황..

180년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사망과 로마의 쇠퇴 시작

1.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와 로마의 황금기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121~180년)은 로마 제국이 가장 번영했던 시기 중 하나였으며, 팍스 로마나(Pax Romana, 로마의 평화)의 마지막 단계로 평가된다.그는 로마 제국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법률 개혁과 행정 정비를 추진했으며, 제국 전반에 걸쳐 효율적인 통치 구조를 마련하려 했다. 또한, 군사적인 측면에서도 방어를 강화하고 외적의 침략을 방어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제국은 여러 가지 내부 및 외부의 도전에 직면했다. 북쪽 국경에서는 게르만 부족들과 사르마티아인들의 지속적인 침략이 있었고, 동쪽에서는 파르티아 제국과의 전쟁이 끊이지 않았다. 또한, 제국 내에서는 전염병(안토니누스 역병)이 퍼지며 경제와 사회 질서에 큰 타격을..

132~135년 - 유대인 바르코크바 반란과 유대 지역의 변화

1. 바르코크바 반란의 배경과 원인2세기 초반, 로마 제국은 유대 지역을 강력하게 통제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지속적으로 독립을 꿈꾸며 저항해 왔다. 특히, 서기 70년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된 이후에도 유대인들의 독립 의지는 꺾이지 않았다.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는 유대 지역을 더욱 강하게 통제하고자 유대인들의 종교적, 문화적 전통을 억압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는 예루살렘을 로마 식민지인 '아일리아 카피톨리나(Aelia Capitolina)'로 개명하고, 유대인들이 신앙을 중심으로 결속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성전 터에 로마 신을 위한 신전을 건설하려 하였다.이러한 정책은 유대인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를 계기로 바르코크바(Simon bar Kokhba)라는 지도자가 등장하여 대규모 반란을 조직..

122년 - 하드리아누스 방벽 건설과 로마 제국의 방어 정책

1. 로마 제국의 국경 방어 문제로마 제국은 기원전 1세기부터 서기 2세기까지 전성기를 구가하며 광대한 영토를 확보하였다. 하지만 영토가 확장됨에 따라 제국의 경계를 방어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졌다. 로마는 자연적 장애물이나 요새를 활용하여 국경을 방어했으나, 북부 브리타니아(현대의 영국)에서는 지속적인 외부 민족의 침입이 발생했다. 특히, 브리튼 섬 북쪽에 거주하던 픽트족과 기타 원주민 부족들은 로마 제국의 지배를 거부하며 잦은 공격을 감행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Hadrian, 재위 117~138년)는 국경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대규모 방벽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로마 제국의 방어 정책은 단순히 군사적인 요소에 국한되지 않았다. 국경을 명확하게 구분함으로써 행정과 경제적 ..

105년 - 중국 한나라의 채륜, 종이 발명과 문서 기록 혁신

1. 고대 문서 기록의 발전과 종이의 필요성문자가 발명된 이후 인류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기록을 남겼다. 초기 문명에서는 점토판(메소포타미아), 파피루스(이집트), 양피지(유럽) 등이 사용되었으나, 이들은 제작 과정이 번거롭거나 비용이 높아 대량 생산과 보급이 어려웠다. 중국에서도 죽간(대나무 조각)과 목간(나무 조각)이 주요 기록 매체로 사용되었으나, 무게가 무겁고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가볍고 저렴하며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기록 매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나라의 채륜(蔡倫)이 종이를 발명하게 되었다.더불어, 기록 매체의 발전은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효율적인 행정 운영을 위해 보다 실용적인 문서 기록 수단이 필요..

96년 - 로마의 5현제 시대 시작 (네르바 황제 즉위)

1. 로마 제국의 정치적 혼란과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몰락1세기 후반, 로마 제국은 플라비우스 왕조의 마지막 황제인 도미티아누스(Domitianus) 치하에서 정치적 불안정을 겪고 있었다. 도미티아누스는 강력한 황권을 확립하고 로마의 질서를 유지하려 했지만, 그의 독재적인 성향과 원로원과의 갈등으로 인해 반감을 샀다. 그는 반대파를 탄압하며 공포정치를 펼쳤고, 결국 96년 9월 18일 친위대의 음모로 암살당했다. 도미티아누스의 몰락은 로마 제국 내에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균형이 붕괴된 시기를 반영하고 있으며, 새로운 지도자가 절실히 필요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원로원은 원로원이 신뢰할 수 있는 지도자를 찾고자 했고, 이에 따라 네르바(Nerva)를 황제로 추대하였다.2. 네르바 황제의 즉위와 개혁네르바는..

79년 - 베수비오 화산 폭발과 폼페이, 헤르쿨라네움의 파괴

1. 베수비오 화산의 분출기원후 79년 8월 24일, 이탈리아 캄파니아 지역의 베수비오 화산이 대규모로 폭발했다. 이 화산 분출은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자연재해 중 하나로 기록되었으며,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 등 로마 제국의 번영하던 도시들을 단숨에 파괴했다. 베수비오 화산은 활화산으로서 이전에도 간헐적인 활동을 보였으나, 당시 사람들은 화산 폭발의 위험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다. 화산이 폭발하면서 엄청난 양의 화산재와 가스가 하늘로 솟구쳤고, 이후 용암과 함께 뜨거운 화산재가 도시를 덮쳤다. 이로 인해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의 주민들은 빠르게 대피할 기회를 갖지 못한 채 생매장되었다.2.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의 파괴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은 당시 로마 제국의 중요한 도시로, 특히 폼페이는 번화한 상업 중심지..

64년 - 로마 대화재와 네로 황제의 기독교 박해

1. 로마 대화재의 발생64년 7월 18일 밤, 로마 시내에서 거대한 화재가 발생했다. 이 불은 로마의 중심지인 서커스 막시무스(Circus Maximus) 근처에서 시작되어 강한 바람을 타고 빠르게 번져 나갔다. 당시 로마는 목조 건축물이 많았고, 도시 구조가 밀집되어 있어 화재가 순식간에 도시 전체로 확산되었다. 불길은 6일간 이어졌으며, 이후 잠시 진압되었다가 다시 발화하여 총 9일 동안 도시를 불태웠다. 결국 로마의 14개 구역 중 10개 구역이 피해를 입었고, 그중 3개 구역은 완전히 파괴되었다.화재가 발생한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일부 역사학자들은 부주의한 화재로 인해 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러나 당시 로마 시민들 사이에서는 네로 황제가 의도적으로 불을 질렀다는 소문이 퍼졌다. 이는..

30년경 -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과 기독교의 확산

1.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활동예수 그리스도는 기원전 4년경 유대 지역의 베들레헴에서 태어났으며, 나사렛에서 성장했다. 그의 공생애(公生涯)는 약 30세부터 시작되었으며, 주로 갈릴리와 유대 지역에서 가르침을 펼쳤다. 예수는 사랑과 용서, 겸손과 희생을 강조하며, 유대교의 율법보다는 인간의 내면적 변화와 신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메시지를 전했다.예수의 가르침은 많은 이들에게 희망을 주었지만, 당시 유대 종교 지도층과 로마 당국에는 위협적인 요소로 작용했다. 그는 병자를 치유하고 기적을 행하는 등 당시의 종교적 전통과는 다른 방식으로 신의 나라를 설파했으며, 이는 유대교 지도자들의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로마 제국의 지배 아래 있던 유대 사회에서 예수의 메시지는 민중들에게 강한 영향을 미쳤고, 이는 ..

1세기 - 로마 제국의 팽창과 팍스 로마나의 시작

1. 아우구스투스와 팍스 로마나의 서막1세기는 로마 제국이 최전성기를 맞이한 시기였으며, 특히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기원전 27년~기원후 14년)의 통치가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그는 내전을 종식시키고,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전환하는 기반을 마련했다.아우구스투스는 원로원과 시민들의 지지를 받으며 ‘프린켑스(Princeps, 제일 시민)’라는 칭호를 사용했지만,실질적으로 모든 권력을 장악한 황제였다. 그의 통치 아래 로마는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으며,이를 ‘팍스 로마나(Pax Romana, 로마의 평화)’라고 부른다.이 시기의 주요 개혁은 다음과 같다.행정 개혁: 지방을 효율적으로 다스리기 위해 속주 총독의 부패를 막고, 세금 제도를 정비했다.군사 개혁: 직업군인제를 도입하고, 제국의 방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