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0 3

312년 -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밀비우스 다리 전투 승리

1. 배경: 로마 제국의 분열과 콘스탄티누스의 부상4세기 초, 로마 제국은 심각한 정치적 혼란 속에 있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퇴위한 후, 로마는 네 명의 황제가 통치하는 사두정치 체제(Tetrarchy)를 운영했으나, 이는 오히려 권력 다툼을 초래했다. 306년, 콘스탄티누스(Constantine I)는 아버지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Constantius Chlorus)의 사망 이후 군대의 지지를 받아 황제로 추대되었으나, 이는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 결과, 콘스탄티누스는 다른 경쟁자들과 제국의 지배권을 두고 치열한 내전에 돌입했다.이때 가장 강력한 경쟁자는 막센티우스(Maxentius)였다. 그는 로마를 중심으로 강력한 지배권을 행사하며, 콘스탄티누스와의 충돌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303년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대기독교 박해

1.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로마 제국의 종교 정책3세기 후반, 로마 제국은 극심한 정치적, 군사적 혼란을 겪으며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284년 디오클레티아누스(Diocletianus)가 즉위하며 강력한 중앙집권적 개혁을 추진했다. 그는 제국을 안정시키기 위해 행정, 군사, 경제 개혁을 단행했으며, 종교적으로도 전통적인 로마 종교를 강화하는 정책을 펼쳤다.디오클레티아누스는 로마 황제의 신성성을 강조하며, 황제 숭배(cult of the emperor)를 제국의 통합 수단으로 활용했다. 그는 로마의 전통적인 다신교 신앙을 보호하는 한편, 유일신을 숭배하며 황제 숭배를 거부하는 기독교를 위협적인 요소로 간주했다. 3세기 후반까지 기독교는 급속히 확산되며 로마 사회 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

284년 -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즉위와 로마 제국의 개혁

1.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즉위와 정치적 상황3세기 후반, 로마 제국은 극심한 혼란과 쇠퇴의 길을 걷고 있었다. 235년부터 시작된 ‘군인 황제 시대’(Crisis of the Third Century)는 50여 년 동안 무려 26명의 황제가 차례로 즉위하고 살해되는 불안정한 시기였다. 잦은 황제 교체, 군대의 반란, 경제적 혼란, 게르만족과 사산조 페르시아의 지속적인 침략이 로마를 위협하고 있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284년, 디오클레티아누스(Diocletianus)가 황제로 즉위하며 로마 제국의 개혁을 추진하기 시작했다.디오클레티아누스는 기존의 군사 중심 통치를 벗어나, 체계적인 개혁을 통해 제국을 재건하고자 했다. 그는 황제권을 강화하고, 행정 체제를 정비하며, 제국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