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7 5

180년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사망과 로마의 쇠퇴 시작

1.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와 로마의 황금기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121~180년)은 로마 제국이 가장 번영했던 시기 중 하나였으며, 팍스 로마나(Pax Romana, 로마의 평화)의 마지막 단계로 평가된다.그는 로마 제국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법률 개혁과 행정 정비를 추진했으며, 제국 전반에 걸쳐 효율적인 통치 구조를 마련하려 했다. 또한, 군사적인 측면에서도 방어를 강화하고 외적의 침략을 방어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제국은 여러 가지 내부 및 외부의 도전에 직면했다. 북쪽 국경에서는 게르만 부족들과 사르마티아인들의 지속적인 침략이 있었고, 동쪽에서는 파르티아 제국과의 전쟁이 끊이지 않았다. 또한, 제국 내에서는 전염병(안토니누스 역병)이 퍼지며 경제와 사회 질서에 큰 타격을..

132~135년 - 유대인 바르코크바 반란과 유대 지역의 변화

1. 바르코크바 반란의 배경과 원인2세기 초반, 로마 제국은 유대 지역을 강력하게 통제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지속적으로 독립을 꿈꾸며 저항해 왔다. 특히, 서기 70년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된 이후에도 유대인들의 독립 의지는 꺾이지 않았다.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는 유대 지역을 더욱 강하게 통제하고자 유대인들의 종교적, 문화적 전통을 억압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는 예루살렘을 로마 식민지인 '아일리아 카피톨리나(Aelia Capitolina)'로 개명하고, 유대인들이 신앙을 중심으로 결속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성전 터에 로마 신을 위한 신전을 건설하려 하였다.이러한 정책은 유대인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를 계기로 바르코크바(Simon bar Kokhba)라는 지도자가 등장하여 대규모 반란을 조직..

122년 - 하드리아누스 방벽 건설과 로마 제국의 방어 정책

1. 로마 제국의 국경 방어 문제로마 제국은 기원전 1세기부터 서기 2세기까지 전성기를 구가하며 광대한 영토를 확보하였다. 하지만 영토가 확장됨에 따라 제국의 경계를 방어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졌다. 로마는 자연적 장애물이나 요새를 활용하여 국경을 방어했으나, 북부 브리타니아(현대의 영국)에서는 지속적인 외부 민족의 침입이 발생했다. 특히, 브리튼 섬 북쪽에 거주하던 픽트족과 기타 원주민 부족들은 로마 제국의 지배를 거부하며 잦은 공격을 감행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Hadrian, 재위 117~138년)는 국경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대규모 방벽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로마 제국의 방어 정책은 단순히 군사적인 요소에 국한되지 않았다. 국경을 명확하게 구분함으로써 행정과 경제적 ..

105년 - 중국 한나라의 채륜, 종이 발명과 문서 기록 혁신

1. 고대 문서 기록의 발전과 종이의 필요성문자가 발명된 이후 인류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기록을 남겼다. 초기 문명에서는 점토판(메소포타미아), 파피루스(이집트), 양피지(유럽) 등이 사용되었으나, 이들은 제작 과정이 번거롭거나 비용이 높아 대량 생산과 보급이 어려웠다. 중국에서도 죽간(대나무 조각)과 목간(나무 조각)이 주요 기록 매체로 사용되었으나, 무게가 무겁고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가볍고 저렴하며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기록 매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나라의 채륜(蔡倫)이 종이를 발명하게 되었다.더불어, 기록 매체의 발전은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효율적인 행정 운영을 위해 보다 실용적인 문서 기록 수단이 필요..

96년 - 로마의 5현제 시대 시작 (네르바 황제 즉위)

1. 로마 제국의 정치적 혼란과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몰락1세기 후반, 로마 제국은 플라비우스 왕조의 마지막 황제인 도미티아누스(Domitianus) 치하에서 정치적 불안정을 겪고 있었다. 도미티아누스는 강력한 황권을 확립하고 로마의 질서를 유지하려 했지만, 그의 독재적인 성향과 원로원과의 갈등으로 인해 반감을 샀다. 그는 반대파를 탄압하며 공포정치를 펼쳤고, 결국 96년 9월 18일 친위대의 음모로 암살당했다. 도미티아누스의 몰락은 로마 제국 내에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균형이 붕괴된 시기를 반영하고 있으며, 새로운 지도자가 절실히 필요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원로원은 원로원이 신뢰할 수 있는 지도자를 찾고자 했고, 이에 따라 네르바(Nerva)를 황제로 추대하였다.2. 네르바 황제의 즉위와 개혁네르바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