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5

1914년 – 1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국제 질서의 붕괴

1차 세계대전의 배경과 전쟁의 원인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유럽은 제국주의 경쟁, 민족주의의 대두, 군비 확장, 동맹 체제의 형성 등으로 인해 긴장 상태에 놓여 있었다.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이탈리아가 삼국 동맹을 형성한 반면, 영국, 프랑스, 러시아는 삼국 협상을 결성하며 유럽은 두 개의 강력한 군사 동맹으로 나뉘었다. 이러한 대립 구조 속에서 발칸 반도는 '유럽의 화약고'로 불릴 정도로 불안정한 지역이었고, 특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세르비아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었다.1914년 6월 28일, 보스니아의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세르비아 민족주의자 가브릴로 프린치프에게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

1885년 – 베를린 회담과 아프리카 분할

베를린 회담의 배경과 유럽 열강의 식민지 경쟁19세기 후반, 유럽 열강들은 산업혁명의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시장과 자원을 찾기 위해 아프리카 대륙에 눈을 돌렸다. 영국, 프랑스, 독일, 벨기에, 포르투갈 등 주요 강대국들은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특히 1870년대부터 1880년대까지 진행된 영국과 프랑스의 아프리카 식민지 확장은 독일과 벨기에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이러한 식민지 경쟁이 격화되면서 열강 간의 충돌 위험이 커졌고, 이를 조정하기 위해 독일의 오토 폰 비스마르크 수상은 국제 회의를 소집했다. 이 회의가 바로 1884년 11월부터 1885년 2월까지 진행된 **베를린 회담(Berlin Conference)**이다. 주요 참가국으로는 독일, 영국, 프랑스, 벨기..

1861년 – 미국 남북전쟁과 노예제 폐지

남북전쟁의 배경과 원인19세기 미국은 급격한 영토 확장과 산업 발전을 이루었지만, 북부와 남부 간의 경제적·사회적 차이는 심화되었다. 북부는 산업 경제를 바탕으로 노동력을 필요로 했고, 노예제를 반대하는 분위기가 강했다. 반면, 남부는 대규모 플랜테이션 농업에 의존하며 노예제에 기반한 경제 구조를 유지하고 있었다.이러한 갈등은 1854년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을 계기로 더욱 격화되었다. 이 법은 새로운 영토에서 노예제 허용 여부를 주민 투표로 결정하게 했고, 노예제 찬반을 둘러싼 폭력 사태를 초래했다. 또한, 1857년 드레드 스콧 판결에서 연방 대법원이 노예를 시민으로 인정하지 않는 결정을 내리며, 북부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결국 1860년 에이브러햄 링컨이 반노예제 성향의 공화당 후보로 대통령에 당선되..

1804년 – 나폴레옹의 황제 즉위와 유럽 질서의 변화

나폴레옹의 부상과 황제 즉위프랑스 혁명 이후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 속에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치적 수완을 발휘하며 급부상했다. 1799년 쿠데타를 통해 총재정부를 무너뜨리고 통령정부를 수립한 그는, 1802년 종신 통령이 되었고, 1804년 12월 2일 스스로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교황 피우스 7세가 지켜보는 가운데 직접 자신의 머리에 황제관을 씌우는 장면은 프랑스 국민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으며, 이는 교황보다 황제의 권위를 강조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나폴레옹은 프랑스를 안정시키고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하는 데 집중했다. 그는 법률, 교육, 행정 개혁을 단행하며 프랑스를 근대 국가로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1804년 제정된 나폴레옹..

1789년 – 프랑스 혁명과 절대왕정의 종말

프랑스 혁명의 배경과 원인18세기 말 프랑스 사회는 경제적 위기, 정치적 부패, 사회적 불평등으로 인해 극심한 혼란에 빠져 있었다. 프랑스는 오랜 기간 절대왕정 체제 아래서 귀족과 성직자 계층이 특권을 누렸고, 대부분의 세금 부담은 제3신분(평민)에게 집중되었다. 또한, 미국 독립 전쟁에 참여하면서 막대한 재정 적자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국가 경제는 악화되었다.루이 16세 정부는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789년 5월 삼부회를 소집했으나, 제3신분 대표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권리를 주장하며 독자적으로 국민의회를 결성하였다. 이들은 6월 20일 테니스 코트 서약을 통해 새로운 헌법이 제정될 때까지 해산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며 본격적인 혁명의 불씨를 당겼다.바스티유 습격과 혁명의 본격화1789년 7월 14..

1776년 – 미국 독립 선언과 민주주의의 확산

독립 전쟁의 배경과 식민지의 반발18세기 중반, 영국은 북아메리카 13개 식민지를 통치하며 강력한 제국을 구축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국 정부는 7년 전쟁(1756~1763) 이후 막대한 전비를 충당하기 위해 식민지에 과도한 세금을 부과하기 시작했다. 특히, 1765년의 인지세법(Stamp Act)과 1773년의 차 법안(Tea Act)은 식민지 주민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대표 없는 과세(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는 식민지인들에게 부당한 정책으로 여겨졌고, 이는 영국에 대한 불만을 더욱 증폭시켰다.1773년, 보스턴 차 사건(Boston Tea Party)에서 식민지 주민들은 영국의 차 수입에 반대하며 보스턴 항구에서 대량의 차를 바다에 버렸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1687년 –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 발표와 과학 혁명의 시작

과학 혁명의 배경과 시대적 흐름17세기는 유럽에서 과학이 급격히 발전하는 시기로, 르네상스와 종교 개혁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학문적 탐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특히, 중세적 세계관을 벗어나 자연을 수학적이고 기계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시도가 증가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코페르니쿠스, 케플러, 갈릴레오 등의 과학자들은 천문학과 물리학의 기초를 닦으며, 근대 과학의 발전을 이끌었다.아이작 뉴턴(Isaac Newton)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등장한 과학자로, 그가 1687년 발표한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Philosophiæ Naturalis Principia Mathematica)》는 과학 혁명의 정점으로 평가된다. 이 책에서 뉴턴은 만유인력의 법칙과 운동의 법칙을 정리하며, 물리학의 새로운..

1648년 – 30년 전쟁과 베스트팔렌 조약

30년 전쟁의 배경과 원인17세기 초 유럽은 종교적,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태였다. 특히 독일 지역에서는 가톨릭과 개신교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 종교적 자유를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618년 보헤미아에서 개신교 반란이 발생하며 30년 전쟁이 시작되었다.30년 전쟁은 단순한 종교 전쟁이 아니라 유럽 각국의 정치적 이해관계가 얽힌 국제적인 전쟁이었다. 초기에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드 2세가 개신교 세력을 탄압하며 가톨릭 진영이 우세를 점하는 듯했지만, 덴마크, 스웨덴, 프랑스 등의 개입으로 전쟁은 더욱 복잡해졌다. 결국 30년 동안 유럽 전역에서 크고 작은 전투가 이어졌고,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전쟁의 전개와 주요 전투30년 전쟁은..

1588년 – 스페인 무적 함대의 패배와 영국 해양 강국의 부상

무적함대의 결성과 스페인의 해양 지배16세기 후반, 스페인은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해양 국가였다. 특히 펠리페 2세가 통치하는 동안 스페인은 넓은 식민지를 보유하며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이에 따라 스페인은 해양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 강력한 해군을 구축했으며, ‘무적함대(Armada Invencible)’라고 불리는 대규모 전단을 편성했다. 이 함대는 130척 이상의 군함과 약 3만 명의 병력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유럽 전역에서 가장 강력한 해군 전력으로 평가받았다.펠리페 2세는 가톨릭 신앙을 수호하고 개신교를 탄압하기 위해 영국과의 전쟁을 준비했다. 당시 영국의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은 개신교를 신봉하며 스페인과의 충돌을 피할 수 없었다. 특히 엘리자베스 1세는 프란시스 드레이크와 같은 해적들을 지원하..

1517년 –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과 개신교의 탄생

가톨릭 교회의 부패와 개혁의 필요성16세기 초 유럽의 가톨릭 교회는 막대한 부와 권력을 누리고 있었다. 하지만 교회의 부패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성직자들은 사치스러운 생활을 즐기며, 교황청은 신도들에게 면죄부를 판매하여 재정을 충당했다. 면죄부는 죄를 사면받을 수 있다는 명목으로 판매되었으며, 이는 신앙보다는 금전적 이익을 우선하는 교회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이러한 부패는 많은 신학자들과 종교 지도자들에게 문제로 인식되었으며, 개혁의 필요성이 점점 대두되었다. 특히 독일의 신학자이자 사제였던 마틴 루터는 교회의 타락을 강하게 비판하며 개혁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성경이 신앙의 유일한 기준이 되어야 하며, 신도들은 교황이나 성직자가 아닌 하나님과 직접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95개..